농장의 산야초/기초지식(31)
-
한약재 이름과 민간 이름
한약재이름과 민간이름 [가] 한약재명 민간명 한약재명 민간명 갈근 칡뿌리 감호 단감 건강 마른생강 건시 곶감 건지 애기풀 건칠 옺나무진 검실 가시연꽃열매 견우자 나팔꽃씨 결루초 잔디뿌리 계관화 맨드라미꽃 고목 소태나무 고복령 비해뿌리 고본 산천궁 고주 식초 곤포 미역 ..
2013.03.30 -
[스크랩] 단풍취, 병풍취, 큰앵초 구분
단풍취-병풍취-큰앵초 구분 봄 나물철에 산에 가면 여기저기에 커다란 병풍취와 단풍취가 있고 옆에는 큰앵초가 단풍취와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나물을 채취하시는 분들은 큰앵초를 단풍취로 알고 뜯어오시는데, 나물로 먹어도 문제는 없지만 큰앵초는 생으로 먹으면 풀냄새가 나고 맛도 ..
2011.08.04 -
약초손질과 보관
약초손질과 보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다. 채취한 약초를 그대로 배낭에 들어 있는 채로 두면 곧 물러지고 썩어 버린다. 약초를 채취하는 것 보다 채취한 약초를 씻고 말리고 보관하는 일이 더 중요하며 노력과 시간도 더 많이 든다. 먼저, 채취해 온 약초는 흙을 털어 내고 필요 없는 ..
2009.12.11 -
약초 달이는 법
약초 달이는 법 옛말에 약을 먹을 때에는 세 가지 정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좋은 약재를 구하는 정성, 달이는 정성, 먹는 정성이 그것이다. 약초는 달여서 먹는 것이 가장 좋다. 달여 먹으면 가루나 약으로 먹는 것보다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그 이유는 먹는 양이 다른 것보다 많고 수용액이어서 위와 ..
2009.12.11 -
산야초 자생지 구분
산야초 자생지 구분 들 . 개울가 쑥. 우슬. 곰보배추. 가막사리. 고들빼기. 씀바귀. 방가지똥. 민들래. 왕고들빼기. 냉이. 수영. 달맞이꽃. 돌나물. 돌미나리. 머위. 참비름. 쇠비름. 엉겅퀴. 질경이. 차즈기. 감나무. 두충나무. 등나무. 명아주. 박주가리. 인동초. 익모초. 야관문. 환삼덩굴. 컴프리. 돼지감..
2009.12.11 -
일반적인 산나물과 독초의 구별방법
일반적인 산나물과 독초의 구별방법 식물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독한 성분을 함유한 식물(초본식물)을 독초(毒草)라 하며, 일반적으로 독초는 산나물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 독초는 그 생김새나 빛깔이 일종의 불쾌감을 준다. 예를 들면 "미나리아재비" "개구리자리"같이 꽃잎에 번뜩..
2009.12.11 -
변경된 식물이름
변경된 식물이름 -한국야생식물연구회 홈에서- 현재 식물사진도감에 식물명 4948종을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식물명에는 국명, 학명, 과명, 과국명, 속명, 기타 국명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그 중.. 지금까지 사용하시던 식물 이름이 아래와 같이 바뀌었으니..... 참고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
2009.12.11 -
접목 기술
접목 기술 ◇ 접목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접목의 방법에는 종류가 많다.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소개하면, 우선 접목의 작업위치에 의하여 거접과 양접으로 나누고, 접목시기에 의하여 발육접(접순이 자라고 있을 때 접하는 것)과, 휴면접(접순이 쉬고 있을 때 접하는 것)이 있고, 바탕나무의 접목..
2009.11.26 -
식물용어해설
식물용어해설 ◆관상화[管狀花]ː꽃잎이 서로 달라붙어 대롱 모양으로 생기고, 끝만 조금 갈라진 작은 꽃. ▷비슷한 말: 대롱꽃 ◆결각상[缺刻狀]ː잎의 가장자리가 들쑥날쑥 깊이 패여 들어간 형태. ◆권수[卷鬚]ː덩굴손. 줄기나 잎의 끝이 가늘게 변해, 다른 물체를 감아나갈 수 있도록 덩굴로 모양..
2009.11.26 -
질병과 산야초의 효과
질병과 산야초의 효과 1)자양강장제 ㉮산마늘(멩이명(命)나물) ㉯댑싸리 ㉰갯기름나물 ㉱쇠무릎:정력제 ㉲천문동:뿌리 사용 ㉳참나리 ㉴대나물 ㉵구기자나물 ㉶둥굴레 ㉷땅두릅나물 ㉸미나리:식욕증진 ㉹민들레 ㉺박주가리:신체허약, 발기부진 ㉻산딸기 2)신장병, 복수, 방광염 ㉮삽주 ..
2009.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