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말벌 유인제 - 농업 진흥청 자료 입니다.

2015. 9. 3. 21:02토종벌/병충해 관리

 

 

 

 

제목 말벌 유인제 개발
.
 
목  차
Ⅰ. 서 언  
   
1. 현황과 문제점 .................................................. 3
2. 기술개발의 필요성 ............................................ 5
3.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 8
가. 연구개발의 목적 .............................................. 8
나. 연구개발의 범위 .............................................. 8
   
Ⅱ. 기술개발 수행내용  
   
1. 재료 및 방법 ................................................... 9
가. 말벌 포획기 모형 개발 ....................................... 9
나. 유인제 종류 및 제조 ......................................... 13
다. 포획 장치 및 유인제 종류별 포획 효과 .................... 14
라. 기상자료 분석 ................................................ 15
   
Ⅲ. 기술개발 결과 및 고찰  
   
1. 결 과 ............................................................. 16
가. 말벌 포획기 모형별 포획 효과 .............................. 16
나. 유인제 종류별 말벌 포획량 ................................. 17
다. 비래 장소별 말벌 포획 마리수 .............................. 20
라. 기상자료 분석 ................................................ 23

2. 고 찰 .............................................................

25
   
Ⅳ. 지도사업 활용 방안 ........................ 27
   
Ⅴ. 참고문헌 .................................. 28




≫목차보기
Ⅰ. 서 언
 
1. 현황과 문제점
가. 현 황
꿀벌은 산야에 있는 여러 가지 꽃을 방문하여 화밀과 화분을 채집하여 봉군의 번식과 생존을 도모하고 잉여의 꿀과 화분을 저장하는 고도의 사회성 곤충이다. 꿀벌을 이용한 양봉산업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전통적인 식량자원으로서 꿀과 밀랍만을 생산하였으나, 현재는 화분, 로얄제리, 프로폴리스, 벌독, 벌유충, 벌번데기, 벌집 등을 생산하여 농업의 본질인 식품생산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꽃을 방문하여 화분을 매개하는 습성은 결실을 중요시하는 전작물, 원예작물, 목초작물 등의 생산성 향상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로서 세계 각국의 농업분야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양봉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경영되고 있으며, 국제식량농업기구의 공식적 통계에 의하면 2005년 약 6,262만 군의 봉군이 연간 137만 톤의 꿀을 생산하고 있다. 세계 인구를 63.7억으로 평가하면 대략 100명당 1봉군의 벌이 존재하며, 1인당 약 0.2kg씩의 꿀을 소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양봉산업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봉군수에서 약 3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 약 200여 만군이 약 2만여톤의 꿀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국내 양봉산업은 아까시나무의 황하현상, 병해충 방제를 위한 무분별한 약제의 오남용, 과학적인 봉군관리 기술개발의 부족 등으로 고품질 양봉 산물의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병해충의 발생은 무분별한 약제의 오남용을 가져와 심각한 실정이다. 주요 병해충으로는 질병으로는 부저병, 백묵병, 노제마병 등이며, 해충으로는 기생성 응애류와 포식성 말벌류 등을 들수 있다. 이중 말벌류를 제외한 병해충들은 약제 방제가 가능하여 한 개 이상의 약제가 개발된 상태이나 말벌류의 경우에는 아직 약제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다만 물리적 방제의 일환으로 포충망을 이용한 직접 잡기,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잡기, 유인제를 개발하여 유인트랩에서 잡기 등으로 포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대부분의 농가에서 이용되는 확실한 포살 방법인 직접 포살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끈끈이 트랩 및 유인제 이용 트랩 포살은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고 그 효과 또한 확실하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말벌 생리 및 생태 특성을 고려한 특이적인 유인제의 개발과 방제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나. 문제점
방제을 보고하였고, Chang et al.(1993)이 양봉장에 출현하는 말벌류의 종류 및 비래상황에 대한 보고, 이 중 가장 큰 피해를 준다는 장수말벌에 대한 방제 시도(Chang et al., 1994) 등을 보고한 바 있다. 최근 여러 연구자에 의하여 말벌류의 방제방법에 대한 유인제 및 유인 트랩 개발 보고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있으나 아직 체계적이지는 못한 실정이다(Jung et al., 2007; Kim et al., 2006).
이는 말벌이 지니고 있는 사회성 곤충으로서의 집단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말벌은 교미한 월동 여왕벌이 4월 말경에 출현하여 스스로 집을 짓고 알을 낳고 직접 외부로부터 먹이를 채집하여 유충을 키운다. 한 배 새끼의 일벌이 태어나면 이때부터 여왕벌은 산란에 전념하고 일벌들이 집짓기, 먹이 채집, 유충사육 등을 담당하면서 무리가 커지면서 여름을 지나면서 가을철에 접어들어 개체군은 정점에 이르게 된다(그림 1). 가을철 수벌이 태어나고 바로 새로운 여왕벌이 출현하여 수벌과 교미를 하며, 교미에 성공한 여왕벌만이 낙엽 혹은 땅속 등의 은신처에서 월동한다.
말벌이 양봉장에 비래하여 피해를 주는 시기는 말벌 개체군이 최고 정점에 이루는 8월 하순부터 9월 말까지이다. 이때는 꿀벌들이 월동벌을 양성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일단 말벌에 피해를 받은 꿀벌은 월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말벌집 말벌집
그림 1. 말벌집
 
2. 기술개발의 필요성
국내 양봉장에 비래하는 말벌류는 4속 10종이다. 조사된 말벌류는 말벌속, 6종; 좀말벌(Vespa analis), 장수말벌(V. mandarinia), 검정말벌(V. dybowskii), 꼬마장수말벌(V. ducalis), 말벌(V. crabro flavofasciata), 털보말벌(V. simillima simillima)을 포함하여, 땅벌(Vespula flaviceps flaviceps), 뱀허물쌍살벌(Parapolybia varia), 등검정쌍살벌(Polistes jokohamae), 꼬마쌍살벌(P. japonicus japonicus) 등이다.
이중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종류는 장수말벌이라 할 수 있다(그림 2). 이들의 공격습성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단계로 1-2마리의 말벌이 양봉장에 비래하여 말벌을 잡아가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 방제를 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3-4마리의 말벌이 벌문 앞에서 비행하면서 큰턱을 이용하여 대항하는 일벌의 다리, 날개, 목, 복부 등 몸체 각 부분을 무분별하게 잘라 낸다(그림 3). 이 상태가 계속되면 마지막 단계로 꿀벌의 일벌들은 벌통 속으로 들어가고 나오지 않으며, 이때 10여 마리의 말벌들이 벌통 출입구 주변에서 포진하고 있다가 벌문 진입을 시도하고 결국에는 봉군내에서 꿀벌일벌과 대접전이 벌어지면서 봉군은 전멸하게 된다(그림 4).
가을철 양봉장에 가장 큰 문제점인 말벌 피해 방지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의 과다투자에 비해 효과적인 퇴치법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말벌 피해시기의 관리 부실시 양봉농가의 피해가 심각하며, 비효율적인 경험적 방제방법을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방제 방법으로 개발보급할 필요성이 있으며, 포획말벌을 이용한 신 양봉산물 개발로 양봉농가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장수말벌
그림 2. 장수말벌

양봉의 말벌방어 태세
그림 3. 양봉의 말벌방어 태세

장수말벌에 피해를 받은 봉군
그림 4. 장수말벌에 피해를 받은 봉군
 
3.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가. 연구개발의 목적
양봉장에 종종 출현하는 말벌류는 벌목(Hymenoptera)의 말벌상과(Vespoidea)에 속하는 종들로서 이중 말벌과는 주로 북반부, 특히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이중 말벌속에는 22종이 있으며, 이중 7종이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dwards, 1980). 이들은 모두 포식성 해충으로서 국내의 경우 8월 상순부터 11월 초순에 걸쳐 양봉장에 비래하여 꿀벌을 가해함으로써 봉군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며 방치하였을 경우, 벌통 전체가 폐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말벌류의 포식습성은 처음 1-2마리의 정찰병 역할의 말벌들이 벌통을 배회하다가 벌통을 드나드는 꿀벌을 공격하여 죽인 이후 말벌 유충에게 제공하는 단독 포식형과 20-30마리의 말벌들이 공격하는 집단 공격형이 있다. 집단 공격형인 경우 30분에서 3시간 사이에 5,000-25,000마리의 꿀벌이 희생되며, 꿀벌의 반격이 약해질 때 말벌 자체가 벌통 내부에 침입하여 유충을 물어 나르게 됨으로써 완전히 봉군은 전멸상태에 이르게 된다(Chang et al., 1993). 가을철 말벌 피해를 받게 되면 월동할 일벌들을 양성하는 일벌들이 피해를 받게 되어 양봉관리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어 이에 대한 친환경적인 방제기술 개발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나. 연구개발의 범위
꿀벌의 최대 포식 천적인 장수말벌의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을 위하여 유인제로 6종류의 과실 즉 포도, 사과, 복숭아, 감, 무화과, 수박 등으로부터 발효시킨 과즙을 이용하였다. 공시된 천연 발효 과즙의 이용은 꿀벌과 양봉산물모두에 피해가 없는 것으로, 말벌을 효과적으로 유인제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가정을 설정하고 실시되었다. 첫째, 말벌이 유인제에 유인되어 포획장체에 들어 갈 수는 있으나 탈출은 불가능한 말벌 포획장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말벌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의 종류로는 6종류의 과일을 부식시간별 즙액을 처리하여 유인제 제조 방법에 대한 시험을 하고자 하였다. 셋째, 제조된 유인제를 말벌 포획장치를 이용하여 6종의 과일 발효 과즙, 마늘즙, 목초액, 페로몬, 벌꿀 등 총 유인제 10종류에 대하여 양봉장 주변에 설치하여 유인제 종류별 효과시험을 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포획 말벌의 새로운 양봉산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차보기
 




≫목차보기
Ⅱ. 기술개발 수행내용
 
1. 재료 및 방법
가. 말벌 포획기 모형 개발
(1) 포획기 모형 종류
실험에 이용된 포획장치는 통발식과 터널식 2종류를 만들었다. 통발식은 말벌이 포획기 중앙부분의 유인제에 유인되어 포획장치에 들어 갈 수는 있으나 탈출은 불가능한 것이다(그림 5, 그림 6).
터널식은 말벌이 유인제에 유인되어 20cm정도 터널을 거처 들어갈 수는 있으나 포획통에서 탈출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그림 7, 그림 8).
 
(2) 제작형식
통발식은 똑 같은 통발형의 등근통 두 개를 탈착이 가능하게 설계하여 중앙부분에 유인제를 놓토록 하여 두 개를 접착하도록 하였고
터널식은 아래층에 유인제 투입 및 보관실을 설치하고 말벌 유인장치는 위층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하였다. 유인제 보관실 부착부분인 윗부분에 냄새 발산창을 설치하여 이용하였다.
 
그림 5. 통발식 포획기 도면
통발식 포획기 도면
①. ②플라스틱 통(탈착가능)


그림 7. 터널식 포획기 도면
터널식 포획기 도면
①플라스틱 통 ②앉은판 ③앉은판 받침 ④덮개 ⑤⑥⑦말벌포획통 탈착장치
⑧말벌포획통⑨⑩유인제 통받침대⑪유인제 통⑫말벌유인구


통발식 포획기 제작모양
그림 6. 통발식 포획기 제작모양

터널식 포획기 제작모양
그림 8. 터널식 포획기 제작모양
 
나. 유인제 종류 및 제조
(1) 유인제 종류
포도, 사과, 복숭아, 무화과, 감, 수박 등 과일류 6종, 마늘즙 1종, 목초액 1종, 페로몬 1종, 벌꿀 1종 등 총 10종류의 유인제를 이용하였다.
 
(2) 유인제 제조 방법
포도, 사과, 복숭아, 무화과, 감, 수박 등 과일은 양봉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서 말벌유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료 400g을 전기믹서를 이용 잘게 분쇄한 후 증류수 600㎖를 첨가, 2 : 3 비율의 용액을 만든 후 종류별로 상온에서 3일간 발효 후 즙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며, 5-7일 후에 교체하였다. 포도의 경우에는 한 종류를 더 제조하여 즉 포도:막걸리:설탕의 비율을 1:1:1의 비율로 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여 이용하였다. 사용량은 포획기별 30cc 이었으며, 페로몬의 경우에는 3-5cc를 사용하였다. 목초액과 페로몬은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이용하였으며, 마늘즙은 생마늘 압착기를 이용하여 즙을 채취하여 이용하였다(그림 9).
 
유인제 종류별 조제후 사진
그림 9. 유인제 종류별 조제후 사진
 
다. 포획 장치 및 유인제 종류별 포획 효과
(1) 시험구 배치
2006년도에는 2종의 포획장치와 유인제 10종류에 대하여 종류별 시험구 10개를 양봉장 주변에 설치하여 포획성적을 조사하였으며(그림 10), 일반 양봉농가의 인력 포획 결과 및 피해상황을 조사하였다. 포획기는 봉군 위 및 전후에 각각 배치하였으며, 일반 양봉장, 밤나무서식지, 참나무서식지 등에 각 10개씩 배치하였다. 유인포획 장치와 10m 거리에 실험 봉군을 배치하여 대조구로 이용하였다.
2007년도에는 2006년도에 효과가 있었던 포도, 사과, 복숭아, 수박, 막걸리 등만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였다.
 
(2) 조사장소 및 기간
일반양봉장은 통영시 도산면 수월리 김용주 양봉농가의 봉군을 이용하였으며, 밤나무 서식지는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참나무 서식지는 통영시 광도면 우동리 지역 등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6년도 8월 16일부터 10월 8일까지 총 54일간 조사하였다. 2007년도에는 8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총 46일간을 조사하였다.
 
유인제 종류별 시험구 배치
그림 10. 유인제 종류별 시험구 배치
 
(3) 조사내용
1일 1회 유인제 종류별 포획, 포획장치 종류별, 양봉장 위치별 등에 대한 포획 마리수 및 대조구의 봉군 피해를 조사 하였으며, 말벌이외에 나비류의 포획수를 동시에 조사하였다. 포획된 말벌은 2L 프라스틱용기에 50마리씩 유지하였다.
 
(4) 양봉장 봉군관리
실험봉군은 일반 양봉군과 동일하게 관리하고 조사기간에 참나무 및 밤나무 서식지에서 이동하여 관리하였다.
 
라. 기상자료 분석
실험기간 중 기상자료는 통영시 기상대로부터 평균온도, 강수량, 일조시간 등을 입수하여 분석하였다.
 
말벌 포획기 모형별 시험구 배치후 현장지도
그림 11. 말벌 포획기 모형별 시험구 배치후 현장지도
≫목차보기
 




≫목차보기
Ⅲ. 기술개발 결과 및 고찰
 
1. 결 과
가. 말벌 포획기 모형별 포획 효과
말벌 포획기 모형별 말벌 포획수를 2006년도에 조사한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널형은 92마리가 포획된 반면 통발형은 전혀 포획되지 않아 포획기의 모형 종류에 따라 포획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표 1. 말벌 포획기 모형별 말벌 포획 마리수(1차년도)
구 분 9월 중순 9월 하순 10월 상순
터 널 형 9 69 14 92
통 발 형 0 0 0 0
 
말벌 포획기 모형별 말벌 포획수를 2007년도에 조사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널형은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가장 많은 329마리가 포획된 반면 9월 하순에는 97마리로 가장 적게 포획되었다. 2006년도와 2007년도의 비교에서 포획기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전체 포획량의 비교에서는 약 8배이상의 차이가 있어 해에 따라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출현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발형은 2006년도와 마찬가지로 전혀 포획되지 않아 포획기의 모형 종류에 따라 포획이 달라짐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표 2. 말벌 포획기 모형별 말벌 포획 마리수(2차년도)
구 분 8.20~9.5 9.6~9.20 9.21~10.5
터 널 형 329 286 97 712
통 발 형 0 0 0 0
 
시기에 따른 말벌 포획기 모형별 포획 효과를 8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2년간에 걸쳐 조사한 결과는 1차년도 대비 2차년도는 620마리의 말벌포획량이 증가하였고, 말벌 출현시기도 1차년도는 9월하순에 가장 많이 출현한데 비하여 2차년도는 8월하순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9월중순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수의 말벌이 출현 하였다. 1차년도는 말벌 번식시기인 6.7.8월의 장기적 장마와 강우로 인한 번식감소 결과로 판단되며 2차년도는 강우량이 전년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어 말벌의 번식이 왕성하여 출현마리수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인트랩의 형태에 따른 효과에서 2년간 조사한 결과 통발형, 터널형 2개의 형태 중 터널형 에서만 포획되었고 통발형의 포획 성적이 없었으므로 터널형 포획기가 말벌 이동경로가 쉬운 것으로 판단된다.
 
나. 유인제 종류별 말벌 포획량
말벌 비래 시기인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유인제 종류별 말벌 및 나비류의 포획량을 알아본 결과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말벌 포획수는 포도 단일, 포도혼합, 사과 , 복숭아, 감, 수박, 목초액 등이 각각 23, 34, 12, 6, 3, 14, 1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포도혼합이 34마리로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반면에 무화과, 마늘즙, 페로몬, 벌꿀 등은 전혀 유인되지 않았다. 말벌이 유인되어 채집된 과일즙 중 시기별 비교에서는 9월 중순에 사과, 복숭아, 감 등 3종류는 말벌이 포획되지 않았으며, 수박의 경우에는 다른 유인제보다 9월 하순에 포획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기별로도 9월 중순과 10월 상순 보다 9월 하순에 집중적으로 포획되어 앞으로 이에 대한 정밀 연구가 요구된다. 시기별 비교에서는 9월 하순이 75%을 차지할 정도로 대부분 이 시기에 집중적이었으며, 포획된 나비류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3. 말벌 비래 시기별 유인제 종류에 따른 말벌 및 나비 포획수 (1차년도, 2006)
처 리 9월 중순 9월 하순 10월 상순
말벌 나비 말벌 나비 말벌 나비 말벌 나비
포도 단일 2 17 18 28 3 17 23 62
포도 혼합 6 21 26 27 2 19 34 67
사 과 0 12 7 25 5 16 12 53
복숭아 0 7 4 23 2 17 6 47
무화과 0 0 0 0 0 0 0 0
0 2 2 13 1 6 3 21
수 박 1 16 12 18 1 5 14 39
마늘즙 0 0 0 0 0 0 0 0
목초액 0 0 0 1 0 0 0 1
페로몬 0 0 0 0 0 0 0 0
벌 꿀 0 0 0 0 0 0 0 0
9 75 69 135 14 80 92 290
 
2007년도 조사한 결과는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벌 비래 시기인 8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말벌 포획수는 포도과즙에서 152마리로 월등히 높았으며, 다음으로 복숭아 15, 수박 7, 사과 4 등이었으며, 2007년도에 새로 시험한 막걸리에서는 단 한 마리의 말벌도 유인되지 않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말벌 유인은 8월 20부터 9월 5일까지 약 44.4% 유인되었으며, 9월 6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39.8%, 9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에는 12.9% 등이 유인되어 약 87%가 8월 20일부터 9월 20일 한달 사이에 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말벌 비래 시기별 유인제 종류에 따른 말벌 포획수 (2차년도, 2007)
종류별 시기별 말벌 포획 마리수
8.20~9.5 9.6~9.20 9.21~10.5
포도 60 71 21 152
사과 3 1 0 4
복숭아 9 4 2 15
수박 7 0 0 7
막걸리 0 0 0 0
소계 79 76 23 178
 
말벌 비래 시기별 유인제 종류에 따른 말벌 포획수를 2006년과 2007년 2년간 비교에서 보면 10종류의 유인제 중 1차년도에 효과가 좋은 포도, 사과, 수박, 복숭아 등 4종의 재료로 2차년도 효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4종의 유인제 중 포도원료가 총 포획수의 85.3%를 차지하였고 복숭아. 수박이 약간의 효과가 있었으나 15%이하였다. 포도의 발효냄새가 말벌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말벌 유인제 재료로 활용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실험결과 포도, 복숭아, 수박 등을 원료로 한 유인제 조제가 효과적이었다(그림 12).
 
말벌 유인트랩의 모습
그림 12. 말벌 유인트랩의 모습
 
다. 비래 장소별 말벌 포획 마리수
2006년도 말벌의 비래 습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봉장, 밤나무서식지, 참나무 서식지 등에 대하여 포획기를 설치하고 유인된 말벌수를 조사한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봉장이 60마리로 밤나무 단지 19마리, 참나무 단지 13마리 보다 각각 24%, 5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봉장에서는 포도 유인제가 가장 많이 포획되었으나 밤나무 단지와 참나무 단지에서는 포도 혼합 6마리, 포도 단일 4마리, 수박 4마리 순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참나무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양봉장에서 유인제에 포획되지 않은 무화과, 마늘즙, 목초액, 페로몬, 벌꿀 등도 밤나무 단지와 참나무 단지에서도 전혀 포획되지 않는 같은 경향을 보였다.
 
표 5. 비래 장소에 따른 말벌 및 나비 포획수(1차년도, 2006년)
처 리 양봉장 밤나무단지 참나무단지
말벌 나비 말벌 나비 말벌 나비 말벌 나비
포도 단일 16 42 4 17 3 3 23 62
포도 혼합 24 51 6 10 4 6 34 67
사 과 7 39 3 8 2 6 12 53
복숭아 4 36 1 7 1 4 6 47
무화과 0 0 0 0 0 0 0 0
2 12 1 6 0 3 3 21
수 박 7 21 4 11 3 7 14 39
마늘즙 0 0 0 0 0 0 0 0
목초액 0 0 0 1 0 0 0 1
페로몬 0 0 0 0 0 0 0 0
벌 꿀 0 0 0 0 0 0 0 0
60 201 19 60 13 29 92 290
 
2007년도 말벌의 비래 장소별 유인된 말벌수를 조사한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밤나무 단지가 총 359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양봉장 60마리, 참나무 단지 118마리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13).
 
참나무 단지내의 말벌 포획 시험구
그림 13. 참나무 단지내의 말벌 포획 시험구
 
표 6. 비래 장소에 따른 말벌 포획수 (2차년도, 2007)
종류별 조사장소 시기별 말벌 포획 마리수
8.20~9.5 9.6~9.20 9.21~10.5
포도 양봉장 60 71 21 152
밤나무 158 144 57 359
참나무 49 54 15 118
사과 양봉장 3 1 0 4
밤나무 2 0 0 2
참나무 0 1 0 1
복숭아 양봉장 9 4 2 15
밤나무 17 8 2 27
참나무 7 2 0 9
수박 양봉장 7 0 0 7
밤나무 9 1 0 10
참나무 8 0 0 8
막걸리 양봉장 0 0 0 0
밤나무 0 0 0 0
참나무 0 0 0 0
소계 양봉장 79 76 23 178
밤나무 186 153 59 396
참나무 64 57 15 136
 
비래 장소에 따른 말벌 포획수를 2006년과 2007년 2년간 비교에서 보면 1차년도에는 일반양봉장의 포획량(65%)이 가장 높았으며, 참나무(21%) 밤나무(14%) 순으로 나타났으나, 2차년도에는 전년대비 88% 정도 포획수가 많았고 밤나무 55.9%, 일반양봉장 25%, 참나무 19.1%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14). 따라서 기온이 높고 장마가 짧아 말벌번식이 왕성한 시기에는 밤나무근처에서 출현율이 높고, 기온이 낮거나 장마기가 장기적일 경우에는 일반 양봉장에서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획장치내 포획된 말벌
그림 14. 포획장치내 포획된 말벌
 
라. 기상자료 분석
1차년도 조사기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균기온은 9월 중순이 평년에 비해 1.8℃낮았으며, 9월 하순은 비슷하였으며, 10월 상순에는 1.3℃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수량의 경우에는 9월 중순에 예년에 비해 약 3배이상인 131.5mm가 내렸으나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거의 없었다. 일조시간은 예년에 비하여 9월 중순은 25.6시간 적었으나,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각각 12.8시간, 13.4시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 조사기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월 하순은 평년대비 1.7℃낮았고, 9월은 1.2℃ 높았으며, 10월은 평년대비 1.1℃ 높았다. 강수량은 8월하순 평년대비 19.7mm 적었으며, 9월은 45.2mm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조시수 9월은 평균은 평년대비 17.6시간 많았다.
 
표 7. 말벌 포획 기간의 평균 온도, 강수량, 일조시간 등의 변화 (1차년도, 2006년)
구 분 연 도 9월 중순 9월 하순 10월 상순
평균기온 (℃) 금 년 20.2 20.6 20.3
전 년 23.2 20.6 19.3
평 년 22.0 20.5 19.0
강수량 (mm) 금 년 131.5 0 1.0
전 년 40.1 0 11.0
평 년 45.3 35.8 20.2
일조시수 (시간) 금 년 30.7 72.1 78.8
전 년 49.1 47.3 44.4
평 년 56.3 59.3 65.4
 
표 8. 말벌 포획 기간의 평균 온도, 강수량, 일조시간 등의 변화 (2차년도, 2007년)
구분 연도 8월상 8월중 8월하 9월상 9월중 9월하 10월상
평균기온 (℃) 금년 26.7 27.2 26.8 22.6 24.5 22.8 21.3
전년 27.3 26.7 26.1 22.7 20.2 20.6 20.3
평년 26.2 26.0 25.1 23.8 22 20.5 19
강수량 (mm) 금년 59.5 43.0 85.9 67.5 146.7 7.9 107.0
전년 0 9.6 53.5 12.5 131.5 0 1
평년 53.7 62.7 105.6 5.4 45.3 35.8 20.2
일조시수 (시간) 금년 20.8 73.4 71.2 67.5 146.7 7.9 107.0
전년 113.5 67.9 65.9 64.1 30.7 72.1 78.8
평년 68.9 62.4 62.9 53.7 56.3 59.3 65.4
 
1차년도(2006년)는 말벌 번식기인 7.8.9월의 강수량이 평년대비 4.7mm가 많았고 8월 평균기온은 1.9℃ 높았으며 일조시수는 14.1시간이 적었다. 2차년도(2007년)의 9월 일조시수가 평년 및 전년에 비하여 많아 말벌 활동시간이 많았고 번식기인 봄철의 기온이 말벌번식에 적당하여 전년에 비하여 말벌 출현율이 현저히 많았고 포획율도 높았다.
 
2. 고찰
국내 양봉장에 말벌류의 출현은 7월부터 10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본 실험에서 피해가 가장 심한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경우에는 8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약 한 달간에 비래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Chang et al., 1993; Jung et al., 2007). 말벌의 출현시기는 기상요인, 즉 기온, 습도, 일사량, 강우량, 풍속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Chang et al., 1993), 비래활동은 사회성 곤충으로서 채밀 활동이 가능한 시기에 봉군의 영양요구도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Ito and Kasuya, 2005).
본 실험은 말벌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양봉장을 중심으로 말벌류의 유인, 특히 피해가 심한 장수말벌의 유인 및 포획하기 위한 유인제, 유인트랩, 포획말벌의 새로운 용도개발 등에 대한 연구한 결과이다. 유인제의 개발은 환경오염이 없는 친환경적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포도, 사과, 복숭아 등과 같이 양봉농가들이 쉽게 얻을 수 있는 과일즙액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포도가 효과적인 유인 즙액이었으며, 이는 과즙의 당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사료된다(Striegler and Lake, 2002). 포도과즙 유인제가 다른 유인제 보다 말벌의 유인효과가 월등히 높았으며 앞으로 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페로몬 말벌 유인액은 사용된 포획기에서 전혀 유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Ono et al., 2003).
실험에 이용된 유인액을 이용한 포획기의 설치 이후 양봉장 주변의 꿀벌 및 여왕벌의 이상행동 등은 관찰되지 않아 모든 공시 시료에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말벌 유인 트랩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을 분석해 보면 크게 말벌 포획기의 색 선호성과 유인트랩의 높이에 대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말벌 포획 효율성 증가를 위해 포획기의 종류, 포획기를 설치하는 높이, 또는 포획기 색깔의 변이를 주어 말벌이 가장 잘 유인되는 환경을 추적이 중요하다(Kim et al., 2006). 말벌 류가 잘 모이는 특이적 색깔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장수말벌(V. mandarinia)의 경우에는 빨간색, 털보말벌(V. simillima)은 하얀색, 좀말벌(V. analis)은 검정색, 그리고 꼬마장수말벌(V. ducalis)은 노랑색으로 집중되었다(Kim et al., 2006). 이것은 종 특이적인 색깔파장의 선호성 보다는 말벌들 간의 상호의사전달의 가능성과 더불어 선점 우위성으로 설명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Ruther, et al., 2002; Stout, et al., 2001).
설치하는 포획기의 높이에 따른 말벌들의 유인효과 결과인데, 지상 70cm 는 대략 벌통 상잔 높이와 동일하며 지상 140cm 는 양봉장 울타리 즉 성인 가슴높이와 동일하다. 즉 말벌의 집단공격시기 이전의 정찰 또는 단독 포식시기에는 벌통의 상잔 정도 높이에서 배회하다가 포획되는 것이다. 또한 말벌포획기 설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140cm 이상)에는 말벌 이외에 나비류가 발효된 유인제 냄새에 더 많이 유인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Kim et al., 2006).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말벌류의 생태 및 생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유인제의 개발 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기 교환이 가능한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하며, 본 실험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포도과즙의 빠른 보급체계를 확립하며, 포획된 말벌들을 이용하여 양봉농가의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말벌 건강음료의 새로운 용도 개발이 기대된다.
≫목차보기
 




≫목차보기
Ⅳ. 지도사업 활용 방안
 
1. 양봉가들의 경험적 말벌 퇴치방법이 많으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므로 말벌의 생리,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체계적 포획기술개발 보급
○ 당해 연도의 기상관찰에 의한 말벌출현율 및 출현시기를 예측 하여 사전에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준비 한다.
○ 8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집중적인 방제를 한다.
 
2. 말벌 포획의 생력화 및 신 양봉산품 생산으로 부가가치 창출
○ 유인제로서 포도의 발효냄새가 말벌이 가장 선호하는 물질로 판단됨.
○ 포도껍질 등을 활용하여 20~25℃정도의 상온에서 3일간 발효시켜 유인제로 조제,
  양봉농가 자체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 방법으로 판단됨
 
3. 말벌 포획시간 및 노동력 90% 정도 절감
○ 유인제는 2일 1회 정도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음.
○ 포획기는 터널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임.
 
4. 말벌로 인한 양봉군의 피해가 감소되므로 생산성 향상 및 양봉소득 증가
○ 가을철 월동용 일벌을 양성하는 일벌의 손실 방지로 안전 월동
○ 월동벌 일벌의 손실 방지로 다음 해 봉군의 경제적 가치 부여
 
5. 포획말벌의 기능성 제조로 약리효과 분석 및 상품화 가능성 제시
○ 부산물인 말벌을 이용하여 새로운 용도 개발 제시

 

출처 : 【우수카페】신비한 약초세상
글쓴이 : 과동청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