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20. 22:53ㆍ농장의 산야초/기초지식
산림청지정 멸종위기식물 및 보호야생식물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야생의 식물 특히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하여 보전이 필요한 식물을 지칭하는 용어는 희귀식물, 멸종위기식물 보호식물, 감소추세종, 특정식물, 법정보호식물, 적색식물목록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용어의 혼재는 실제적으로 관련 학계 또는 환경 단체 등에서 많은 혼란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사용중이 희귀식물과 관련된 정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
- 산림청에서는 희귀식물과 관련하여 보전사업을 수행하면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Rare and Endangered Species)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여 사용하였으나 자연환경보전법에서 멸종위기종을 별도로 구분하여 명시한 후, 이 명칭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희귀식물'이라는 단일한 명칭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에서 수행하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보존대상 희귀식물 목록을 작성하면서, 분류학적인 논란이 많은 분류군, 분류군별 특징이 고정되지 않은 품종이하의 분류군 등에 대해서는 '후보종'의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반드시 보전대상에 넣어 모니터링해야 하는 분류군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품종 수준에서 인식되는 작은 차이점이 자원화로 발전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1991년 자연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법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식물을 '특정야생식물'로 규정하였습니다. 이 목록은 몇 번의 목록 개정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126종을 지정하였습니다. 이렇게 선정된 특정야생식물에 대해 이 종의 희귀정도에 따라 멸종위기종, 감소추세종, 특산종, 희귀종 등의 범주를 규정한 바 있으나 명확한 기준으로 구분한 것은 아닙니다. 1998년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하면서 그 희소성과 보존의 중요성에 따라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으로 인한 주된 서식지, 도래지의 감소 및 서식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식물을 '멸종위기식물(자연환경보전법 2조 6항)' 그리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야생식물, 국제적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야생식물 또는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는 야생식물을 '보호야생식물(자연환경보전법 2조 7항)'로 크게 두 범주로 구분하고 각기 6종류, 52종류 총 58종류의 식물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연환경보전법에는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거래에 관한 협약)에 명시된 '국제적멸종위기종'에 대한 규정이 있는데 우리나라 야생식물 중에는 부속서 II에 해당되는 난초과(Orchidaceae) 식물과 대극속(Euphobia), 재배식물중에는 선인장과, 소철류 등 다수의 종이 포함됩니다.
멸종위기야생식물과 보호야생식물이라는 범주와 그에 속한 식물종 만으로는 감소되어가 가고 있는 희귀한 식물들의 효과적인 모니터링이나 유출입 관리가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가 대두되면서 앞의 어떠한 규정에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종 중에서 우리나라 남한에서 분포하는 특산식물을 주로 포함하여 '국외반출승인대상 식물자원' 190종을 선정해 놓고 국외로 반출시에는 환경부에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밖에 자연환경보전법에 명시된 '자연환경조사'에서는 역시 58종류만을 희귀식물로 모니터링하기에는 규모가 작고 또 보전과 모니터가 필요한 종이 산재해 있으므로 조사지침에 별도로 '특정식물종'이라는 명칭으로 식물목록을 작성, 이 종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제시하고 있습니다.
가지과 : 미치광이풀,
갈매나무과 : 갯대추, 망개나무, 먹넌출, 청사조,
겨우살이과 : 꼬리겨우살이,
고란초과 : 고란초,
고사리삼과 : 나도고사리삼,
국화과 : 갯취, 구름떡쑥, 께묵, 바늘엉겅퀴, 산솜다리, 솜다리, 어리병풍, 울릉국화, 좀민들레, 키큰산국, 한라구절초, 한라솜다리, 흰바늘엉겅퀴,
꼬리고사리과 : 골고사리, 파초일엽,
꿀풀과 : 백리향, 섬백리향,
끈끈이귀개과 : 끈끈이귀개, 끈끈이주걱,
난초과 : 거미난, 광릉요강꽃, 구름병아리난초, 국화방망이, 금새우난, 나도풍난, 대흥난, 두잎약난초, 무엽란, 백운난, 복주머니란, 비자란, 사철란, 새우난초, 석곡, 약난초, 여름새우난, 으름난초, 자란, 지네발란, 차걸이난, 천마, 콩짜개난, 털복주머니란, 풍란, 한란, 해오라비난초,
노루발풀과 : 구상난풀, 수정난풀,
노린재나무과 : 검은재나무,
느릅나무과 : 검팽나무, 노란팽나무,
다래나무과 : 섬다래,
닭의장풀과 : 나도생강,
담팔수과 : 담팔수,
대극과 : 두메대극,
돌나물과 : 낙지다리, 둥근잎꿩의비름,
돌매화나무과 : 암매,
두릅나무과 : 가시오갈피, 땃두릅나무, 지리산오갈피,
마타리과 : 금마타리,
매자나무과 : 깽깽이풀, 삼지구엽초, 섬매발톱나무, 한계령풀,
매화오리과 : 매화오리,
목련과 : 목련, 초령목,
물고사리과 : 물고사리,
물부추과 : 물부추, 참물부추,
물푸레나무과 : 꽃개회나무, 만리화, 미선나무, 박달목서, 산개나리, 정향나무,
미나리아재비과 : 너도바람꽃, 누른종덩굴, 만주바람꽃, 매화마름, 모데미풀, 바람꽃, 바이칼바람꽃, 백부자, 백작약, 변산바람꽃, 산작약, 섬노루귀, 세뿔투구꽃, 연잎꿩의다리, 지리바꽃, 한라돌쩌귀, 홀아비바람꽃,
백합과 : 나도개감채, 날개하늘나리, 두메부추, 땅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산마늘, 섬말나리, 솔나리, 여우꼬리풀, 연령초, 왕둥굴레, 자주솜대, 진부애기나리, 층층둥굴레, 칠보치마, 큰두루미꽃, 큰솔나리, 큰연령초, 한라돌창포,
범의귀과 : 나도승마, 도깨비부채, 바늘까치밥나무, 톱바위취,
벼과 : 금억새, 모새달, 장억새,
붓꽃과 : 꽃창포, 난장이붓꽃,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 대청부채, 제비붓꽃,
사람주나무과 : 모감주나무,
사초과 : 검은도루박이, 대암사초, 무등풀, 작은황새풀,
산형과 : 개회향, 갯방풍, 등대시호, 섬시호,
삼백초과 : 삼백초,
새깃아재비과 : 새깃아재비,
석송과 : 줄석송,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 한라장구채,
소귀나무과 : 소귀나무,
소나무과 : 구상나무, 눈잣나무, 솔송나무, 황금소나무,
솔잎란과 : 솔잎난,
수련과 : 가시연꽃, 순채,
수선화과 : 개상사화, 문주란, 백양꽃,
시로미과 : 시로미,
십자화과 : 고추냉이, 참고추냉이,
쐐기풀과 : 바위모시,
아욱과 : 황근,
앵초과 : 금강봄맞이, 기생꽃, 설앵초, 참좁쌀풀, 홍도까치수영,
열당과 : 개종용, 백양더부살이, 야고, 오리나무더부살이, 초종용,
용담과 : 닻꽃, 대성쓴풀, 덩굴용담, 비로용담, 조름나물, 좀어리연꽃, 좁은잎덩굴용담,
원지과 : 병아리다리,
인동과 : 섬댕강나무, 줄댕강나무,
자금우과 : 백량금,
자라풀과 : 자라풀,
자리공과 : 섬자리공,
자작나무과 : 왕개서어나무,
장미과 : 가침박달, 거제딸기, 나비국수나무, 능금, 붉은인가목, 섬개야광나무, 섬국수나무, 왕벚나무, 이노리나무, 한라개승마, 흰인가목,
제비꽃과 : 금강제비꽃, 선제비꽃, 왕제비꽃, 태백제비꽃,
조록나무과 : 히어리,
주목과 : 설악눈주목,
쥐방울덩굴과 : 개족도리, 등칡, 쥐방울덩굴,
진달래과 : 진달래, 노랑만병초, 들쭉나무, 만병초, 월귤, 한라산참꽃나무, 홍월귤, 흰진달래, 흰참꽃나무,
참나무과 : 개가시나무, 너도밤나무,
처녀이끼과 : 난장이이끼,
천남성과 : 두루미천남성, 섬남성, 섬천남성, 창포,
초롱꽃과 : 금강초롱꽃, 도라지모시대, 섬초롱꽃,
측백나무과 : 눈측백, 눈향나무, 해변노간주,
콩과 : 개느삼, 늦싸리, 만년콩, 왕자귀나무, 제주달구지풀,
통발과 : 땅귀개, 이삭귀개, 통발,
팥꽃나무과 : 백서향, 산닥나무, 피뿌리풀,
피나물과 : 매미꽃,
현삼과 : 구름송이풀, 만주송이풀, 애기송이풀, 토현삼,
홀아비꽃대과 : 죽절초,
흑삼릉과 : 흑삼릉,
모셔온 글입니다
'농장의 산야초 >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용어해설 (0) | 2009.11.26 |
---|---|
질병과 산야초의 효과 (0) | 2009.11.13 |
한국식물 분류표(사~하) (0) | 2009.09.02 |
한국식물 분류표 (가~바) (0) | 2009.09.02 |
소나무 이식하는 방법 (0) | 2009.06.11 |